News & Events

Latest News

Total 3

[BK21, OIH]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실전 특강, 취업비자 특강 안내(Special Lecture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Views 79

2025.01.08

안녕하세요, 겨울방학 즐겁게 보내고 계신가요? 외국인 대학원생들의 요청에 따라, 아래와 같은 두 가지 특강을 준비하였습니다.  이 특강들은 여러분의 취업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실전 특강 □ 일시: 2025년 1월 13일(월), 14:00~15:30(한국시간) □ 대상: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거나 관심있는 모든 학생 □ 진행 방법: 온라인(Zoom) □ 진행 언어: 영어 □ 강연자: Klik 구직사이트 정혜령 팀장 □ 신청 기간: 2025년 1월 12(일), 23:30까지 □ 신청URL: https://forms.office.com/r/mjGhEjydxr 2. 취업비자 특강 □ 일시: 2025년 1월 16일(목), 13:30~15:00(한국시간) □ 대상: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거나 관심있는 외국인 학생 □ 진행 방법: 온라인(Zoom) □ 진행 언어: 영어 □ 강연자: 추인영 행정사 □ 신청 기간: 2025년 1월 15(수), 23:30까지 □ 신청URL: https://forms.office.com/r/0ciefDP1kN 이 특강들은 여러분의 취업 준비와 비자 신청 과정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관심 있는 학생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대학원혁신본부 OIH [ENG] [BK21, OIH] Special Lectures on Resume Writing & Employment Visa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Dear, I hope this message finds you well and that you are enjoying a pleasant winter break. In response to requests from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we are pleased to offer the following two special lectures, which we believe will be very helpful for your career development: 1. Resume and Cover Letter Writing Practical Session □ Date & Time: Monday, January 13, 2025, 14:00–15:30 (KST) □ Target Audience: For all students who wish to find employment or are interested in employment in Korea □ Mode of Delivery: Online (via Zoom) □ Language: English □ Speaker: Jung Hye-ryeong, Team Leader at Klik Job Search Site □ Registration Deadline: Sunday, January 12, 2025, by 23:30 □ Registration Link: https://forms.office.com/r/mjGhEjydxr 2. Employment Visa Session □ Date & Time: Thursday, January 16, 2025, 13:30–15:00 (KST) □ Target Audienc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wish to find employment or are interested in employment in Korea □ Mode of Delivery: Online (via Zoom) □ Language: English □ Speaker: Choo In-young, Administrative Specialist □ Registration Deadline: Wednesday, January 15, 2025, by 23:30 □ Registration Link: https://forms.office.com/r/0ciefDP1kN We encourage you to join these informative sessions to enhance your job application skills and gain valuable insights into employment visa processes. We look forward to your participation. Warm regards, KUGS OIH

[KUCE People] 선우명호 석좌교수, 2024 세계전기차 대회(EVS37) 대회장 취임

Views 1974

2023.07.13

▲ 지난달 14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진행된 EVS36 폐막식에서 선우명호 EVS37 대회장(우측)이 북미전기자동차협회(EDTA) 회장(좌측)으로부터 대회 바통을 전달받아 들어 올리고 있다.   지난달 14일(현지시간) 세계전기자동차협회(WEBA) 총회가 미국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에서 진행된 EV36 폐막식에서 2024년 4월 열릴 예정인 EV37 개최지를 서울로 공식 발표한 가운데, 고려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해근) 자동차공학과 선우명호 석좌교수가 북미전기자동차협회(EDTA) 회장으로부터 대회 바통을 전달받으며 2024년 세계전기차 대회(EVS37) 대회장 취임이 공식화되며 연이은 경사가 전해졌다.   ▲EVS 37 브로슈어   1969년부터 열린 EVS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큰 규모의 전기자동차 전시회 및 학술대회로, ‘세계 전기자동차 올림픽’으로 불린다. WEVA에서는 매년 대륙별 전기자동차 협회와 함께 아시아·유럽·북미 대륙을 순회하며 개최하고 있다.   내년 4월 서울 코엑스에서 열릴 EVS37은 WEVA와 EAAP가 주최하고 한국자동차공학회(KSAE)가 주관하며, ‘미래 모빌리티로 향하는 전기 물결(Electric Waves to Future Mobility)’을 주제로 진행된다. EVS37을 주관하는 한국자동차공학회에서는 본 대회가 한국 전기차 산업의 미래 방향성을 내다봄과 동시에 국산 전기차 관련 기업의 세계적인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EVS 한국 개최는 지난 2002년과 2015년에 이어 세 번째로, 이미 500여 개의 부스 문의 및 예약이 진행되고 있으며,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질 예정이라 밝혔다.   선우명호 석좌교수는 “EVS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높은 전기차 행사로 매년 전기차 부문에서 앞서나가는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린다”라며, “한국은 세계 전기차 시장의 트렌드세터이자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고, 충전 인프라 등 시장 환경도 앞서 있기 때문에 EVS를 개최하기에 매력적인 장소이다”라고 전했다.   한편, 선우명호 석좌교수는 지난달 세계전기자동차협회(WEVA) 회장으로 취임, 아시아태평양전기자동차협회(EVAAP) 회장직, 고려대학교 자동차융합학과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 지난 6월에는 2024 세계전기차 대회(EVS37) 대회장에 피선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공과대학신문 ▶ 고려대학교 자동차융합학과 (누르면 바로 이동)

[Hot Focus] 공과대학, 과기정통부와 국가반도체연구실 현판 제막식 가져... 차세대 반도체 선도 기관으로 ‘우뚝’

Views 1199

2023.07.10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공학관 3층 라운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국가반도체연구실 현판 제막식·전달식’ 기념 촬영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려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해근)이 지난 29일 신공학관 3층 라운지에서 ‘국가반도체연구실(NSL) 현판 제막식’을 가지고, 현장에서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고려대학교의 국가반도체연구실 선정을 축하 및 기념하였다.   ▲ 고려대학교 국가반도체연구실 현판(사진=공과대학신문) ▲ 고려대학교 공학관 114호 회의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측과 국가반도체연구실 지원 핵심 기술 개발 사업에 관한 안건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공과대학신문)   이날 행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과 더불어 고려대학교 김동원 총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이해근 학장 외 각 관계자 및 유수의 인사들이 배석하였으며, 차후 국가 플래그십 반도체 연구실로서 특화 분야 집중 연구를 통해 기업 난제 및 차세대기술 등 향후 10년 내 활용될 특허 획득에 대한 안건이 오갔다.   이번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이 선정 쾌거를 이룬 ‘국가반도체연구실’은 과기정통부에서 글로벌 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 강화에 대응하여 원천 연구개발 및 대학 반도체 연구실(Lab)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 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사업으로, 단위 반도체 연구실에 5년간 연(年) 5억 원(총 과제비 25억 원) 정도를 투입하여, 원천기술(삼극특허(미, 일, 유럽6건)과 박사급인력 6명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 (왼쪽부터) 전기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 ‘23년 상반기 기준 정책센터 1곳, 대학 연구실 9곳이 선정되었으며, 하반기에는 10개 연구실이 추가 선정될 예정이다. 상반기에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의 2개 연구실인 ▲유니버설 로직-메모리 소자 연구실(전기전자공학부 김상식 교수) ▲차세대 MRAM 연구실(신소재공학부 김영근 교수)이 선정되는 쾌거가 있었다.   선정 연구실을 대상으로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 반도체 분야의 ▲반도체 소재-공정 ▲반도체 소자 ▲반도체 설계 ▲반도체 패키징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진다. 김영근 교수는 “과제선정이 되어 다행이라는 생각은 잠시였고, 주어진 성과목표가 매우 높은 편이라 각오를 다지고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다. 과제 준비 시 협조해주신 공과대학, 학교본부, 산학협력단에 감사드린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이어, 김상식 교수는 “과제선정으로 연구실 대학원생들과 함께 반도체 연구에 좀 더 정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많은 도움을 주신 공과대학을 비롯한 여러 학교 기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좋은 연구 결과로 보답하고 싶은 마음이다”라고 앞으로의 포부를 전했다.   한편, 고려대학교 공과대학은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시점에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 혁신을 개척해 나갈 차세대 반도체 수요에 맞는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그 뜻에 이번 국가반도체연구실 선정이 주는 의미가 크다.    /공과대학신문